만든 배경
2022년 1월 23일 by 펭수르
아무것도 모르던 불과 1년 전. 저는 가치투자를 한답시고, 나름 저평가된 주식을 찾아서 바로 다음날 몰빵을 했습니다.
2021년에 시장이 좋을 때에는, 성공률이 꽤나 높았습니다. 하지만 하반기부터 하락이 시작된 이후부터는 물려있을 수 밖에 없더군요.
그리고 주월클에서 주식을 배우기 시작하며, 깨달았습니다. 아, 우리나라 주식은 하락이 일반적인 경우구나..!! 그럼에도 수익을 내야 하는구나.
그래서 지금은 매일 종가매수를 통해 시드를 키워나가고, 나머지 금액으로 일반매매 훈련을 하고 있습니다.
일반 매매를 하면서 과거의 차트를 켜놓고 상상으로 시뮬레이션을 해봤는데, 훈련 효과가 적더군요.
자연스레 "매일매일 매수/매도/건너뛰기를 판단하면서 실적을 측정하면서 훈련해보고 싶다"라는 욕심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과거 일봉차트 매매 시뮬레이션을 만들었습니다.
이 메뉴얼은 매매 훈련을 위한 일봉매매 시뮬레이션 메뉴얼입니다.
삼성전자가 좋아보여서 내가 할당한 금액 중 80%를 샀는데 물려있는 상황이라면, 오를 것이라 믿고 묻어두는 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능동적으로 비중을 조절하고, 리밸런싱 하면서 수익을 극대화하고 싶다면 매매훈련을 통해 기본기를 쌓는 것이 좋습니다.
일봉 매매 시뮬레이션은 일봉차트 기준으로 매수/매도 훈련을 도와주어 매매 기본기 훈련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아쉽게도 분봉차트는 지원하지 않아서, 여러분이 분봉으로 대응했다고 가정하고 당일 평균 매도/매수 단가를 입력해야 합니다.
그럼에도 꾸준히 일봉차트로 시뮬레이션 훈련을 하다보면, 실전매매에서도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 믿습니다.
기능 설명
2022년 1월 23일 by 펭수르
우선 메인화면에서 글자들이 적혀있는걸 보실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의 목표와 시작 방식을 읽어봐주세요.
그리고 시뮬레이션 할 종목명, 계좌에 배정할 금액, 초기 매수 비중을 입력하고 "전송"을 클릭합니다. (모든 값은 필수로 입력해주세요)
시작비중을 0으로 입력하면 처음부터 시작할 수 있고, 그 이상을 입력하면 평균매입단가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시작합니다.

처음으로 마주 할 결과 화면입니다. 랜덤으로 시작한 날짜 당시의 상황이 보입니다.
매수만 시작비중만큼 했고, 매도는 없는 상황입니다.
이번 예시에서는 시작 시 평가손익이 랜덤으로 -12.65%로 설정되었고, 평균단가는 4,528원이네요.

그 아래에는 시작 시 랜덤하게 지정된 시작날짜(2009.07.01)이 보이고, 추가 매수/매도를 위한 입력창이 보이네요.
만약 차트를 보시고 이 날 매수/매도를 해보고 싶으시면 값을 입력하시고, 그냥 넘어가고 싶으시면 입력없이 "다음" 버튼을 누르시면 다음개장일로 넘어갑니다.
이 때 비중은 최초 계좌에 설정한 금액 대비 비중이고, 이 예시에서는 1천만원입니다. 가격은 매수/매도 하고 싶으신 단가입니다.
효과적인 훈련을 위해 다음 일봉 예상치를 기입할 수 있게 해놨습니다.
다음날 예상되는 분봉흐름을 머릿속에 그려보시고, 시가/종가/저가/고가를 입력해보세요.(결과에는 영향 없습니다.)

그 아래에는 실제 주식 일봉 캔들차트가 보입니다. 캔들차트와 평균단가 그래프를 겹쳐놨습니다.
만약 평균단가와 일봉차트의 간격이 커서 일봉차트가 좁게 보인다면, 그래프 아래 범례에서 평균단가를 클릭해서 평균단가를 없앰으로써 일봉차트를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일봉차트의 보기 범위를 1m(1달), 3m(3달), 6m(6달), YTD(당해년도), 1y(1년), All(전체)로 볼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거래량 그래프, 비중변화 꺾은선 그래프, 매수/매도 금액이력 그래프도 보실 수 있습니다.
가장 아래 미니맵을 통해 차트 보기 범위를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좌우로 이동하거나, 넓히고 줄일 수 있습니다.

차트 범위를 최대(All)로 넓히면 과거 3년치 일봉까지 볼 수 있습니다.

최초입력 요청값, 매수/매도 이력, 날짜별 전체 이력을 통해 이력을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날짜별 전체 이력에는 추가 매수/매도 금액과 실현손익 이력이 있으므로, 이를 드래그해서 엑셀에 복사해서 분석에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 이제 본격적인 매매시뮬레이션을 해보겠습니다.
저는 일봉차트를 이리저리 보면서 며칠동안 아무것도 하지 않고 "다음"으로 넘겼습니다.
이후 2009.07.06에 흐름이 안정되었다고 판단해서 2% 추가매수를 했습니다.
매수 단가를 결정할 때에는, 제가 실제로 이 날엔 흐름을 지켜보다가 종가에 매수했다고 가정했습니다. 그래서 종가인 4,050원으로 결정했습니다.
그래서 매수비중은 2%, 매수단가는 4,050으로 입력하고 "다음"을 눌렀습니다.

그러면 새로운 계산결과가 나오고, 그래프를 보면 매수로 인해 변경된 그래프를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평균단가가 4,528원에서 4,503원으로 내려갔고, 비중은 40%에서 41.96%로 올라갔습니다. 매수금액은 198,450원이네요.

계속 진행하다보니, 2009.7.21에 리밸런싱 기회가 와주네요! 매수와 매도를 섞으며 대응했습니다.
장 초반에 거래량이 터지면서 돌파하는 모습을 보여서 평균 3,900원에 매수했다고 가정하고,
고점이라 판단한 부분에서 4,250원에 2% 매도했다고 가정했습니다.
비중은 45.93%가 되었고, 매수금액은 397,800원, 매도금액은 199,750원입니다

가장 위쪽에 보면 리밸런싱 매도로 인해 실현손실이 발생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를 체크해가면서 향후 대응하면 됩니다.

이어서 매매를 하다가, 만족할만한 수익이 나면 전량매도를 하면 됩니다. 저도 전량매도를 하고 싶어서 캡쳐화면처럼 비중 100%를 입력했습니다.

전량매도 하면 결과데이터에서 총 매입수량과 총 매도수량이 같아집니다. 와~ 이번 예제에서는 5.96%의 수익을 달성했군요.

예제의 매매 기간은 2009.07.01부터 2009.09.03까지 약 2달여간 진행했습니다.
중간에 비중과 평균단가를 조절하기 위해 리밸런싱을 섞었고, 마지막즈음엔 분할매도를 통해 마무리 했습니다.
그래프 하단에 매수/매도금액 그래프가 있는데, 이것을 통해 어느정도 강도로 매수/매도를 진행해왔는지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스크롤을 가장 아래로 내리면, 매매기간동안 내역이 그대로 나옵니다. 표를 긁어서 활용하셔도 됩니다.
